본문 바로가기메뉴 바로가기

부천시보건소 부천시/소사/오정건강도시부천BI

임산부및난임부부우울증관리

(보건소 운영) 임산부 및 난임부부 우울증 상담 서비스

(난임‧임산부 심리상담센터 운영) 난임환자 및 임산부 심리상담서비스

취약계층 알레르기질환 의료비 및 보습제 지원 상세 표
구 분내용
대 상난임부부, 유산 및 사산 경험 부부, 임신부, 산모, 양육모
(출산 후 36개월 이내), 그 배우자 및 가족 등
상담문의 및
상담예약
경기도 권역 난임‧임산부 심리상담센터
www.happyfamily3375.or.kr / 031-255-3374
상담
유형
대면대상자나 가족 등이 직접 센터로 방문하여 대면상담,
대상자가 거주하는 연계기관으로 방문하여 상담
비대면전화, 온라인, 영상으로 상담
상담
시간
예약제(평일) 월~금 09:00 ~ 17:00
상담사정신건강전문요원, 사회복지사, 임상심리사, 간호사

(온라인 서비스) 아이사랑

  • 아이사랑사이트(www.childcare.go.kr, 1644-7373)를 통한 산전·후 우울증 자가 검진 및 산부인과, 정신과, 소아청소년과 등 전문의 온라인 상담 가능 (상담실>출산상담>산전후우울증상담)

임산부 및 난임부부 정신건강

  • 임신 중 우울 (산전 우울증)
    • 산전 우울증 이란?
      • 산전 우울증은 임신 중에 시작되는 우울로 알려져 있으며, 전체 임신부의 약 15%정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는 기분변화를 경험하며,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우울감, 무기력, 두려움, 신경질, 슬픔, 소화불량, 수면의 질 저하, 집중력 저하 등이 있습니다.
    • 임신 중 우울 증상
      • 어떤 것을 봐도 웃음이 잘 나지 않는다
      • 예전에 비해 즐거운 일이 생긴다는 기대감이 줄었다.
      • 일이 잘못되면 필요 이상으로 자신을 탓하는 것 같다.
      • 별 이유 없이 불안해지거나 걱정이 된다.
      • 별 이유 없이 겁이 나거나 공포에 휩싸인다.
      • 처리할 일들이 쌓여만 있다.
      • 불안한 기분이 들어서 잠을 잘 못 잤다.
      • 슬프거나 비참한 느낌이 들었다.
      • 너무 불행한 기분이 들어 울었다.
      • 나 자신을 해치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 산후우울증
    • 산후우울증이란?
      • 출산 후 85%에 달하는 여성들이 일시적으로 우울감을 경험합니다. 대부분은 일상생활에 장애를 초래할 정도로 심각하지 않으며 이런 경우를 산후우울감 이라고 합니다. 대개 분만 후 2~4일 내로 시작되며 3~5일째에 가장 심하고 2주 이내에 호전됩니다. 대부분의 경우 자연스레 소실되지만 산후우울증으로 이행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표적 증상으로는 우울, 짜증, 눈물, 불안 및 기분변화 등이 있습니다.
    • 산후우울증 증상
      • 계속적인 피로 및 무기력감, 의욕상실
      • 산후우울감이 2주 이상 지속, 심한 기분변화
      • 수면 부족 및 수면 과다
      • 기억, 집중력 및 논리적인 사고 어려움 호소
      • 주변에서 자신을 챙겨주지 않는다고 불평함
      • 식욕 감소 및 성욕 상실
      • 사소한 일에도 울적해하며 슬퍼하거나 눈물을 흘림
      • 이유 없이 막연히 드는 불안감에 초조해함
      • 다른 사람과 대화하고자 하는 마음이 들지 않음
      • 이유 없이 몸 상태가 좋지 않음
      • 아이의 건강이나 사고발생에 대해 과도하고 부적절하게 걱정함
      • 아이에 대한 관심 상실
      • 아이에게 적대적이거나 폭력적인 행동을 보임
      • 자기 자신과 아이에게 자기가 해를 끼칠 것 같은 두려움: 자살이나 영아살 해에 대한 강박적인 사고
  • 난임 스트레스
    • 난임 스트레스란?
      • 전체 난임 시술 부부의 약 85~87%가 난임으로 인해 정서적 고통, 우울감을 경험하고 있으며, ‘자살에 대한 생각’으로 심각한 어려움이 있었다는 고위험군도 약 21~27%로 보고되었습니다.
        이러한 난임 스트레스로 발생하는 정서적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하는 요구는 약 75~78%로 높게 나타났으나, 실제 정서적 지지 및 심리적 상담을 위해 상담 시설을 이용하는 비율은 약 3~5% 정도로 보고되어 미미한 수준입니다.
    • 난임 스트레스 증상
      • 나의 건강에 대해 걱정을 많이 함
      • 부부관계, 성에 대한 관심을 잃었음
      • 불면으로 고생하여 잠을 개운하게 자지 못함 또는 지나치게 피곤하여 너무 많이 잠
      • 쉽게 화가 나고 짜증이 남
      • 늘 내 자신을 비판하고 자학함
      • 다른 사람에 비해 열등하고 뭔가 잘못되어 있다고 느껴짐
      • 자신이 무가치한 실패자라고 생각됨
      • 앞날에 희망이 없다고 느껴짐
      • 슬프고 기분이 울적함

출처: 중앙난임 우울증 상담센터 홈페이지

문의

  • 부천시보건소 건강증진과 모자건강팀 032-625-4434
  • 소사보건소 모자건강팀 032-625-4266
  • 오정보건소 모자건강팀 032-625-4367
담당부서 :
전화번호 :
최종수정일 :
2025-03-13
만족도 양식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

맨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