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메뉴 바로가기

세계속건강도시관련기구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

사이트 바로가기

설립목적

KHCP(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는 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가장 높은 수준의 건강 달성과 건강형평성 구현을 위하여 지방정부간 공공정책과 정보를 공유하며,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을 위해 노력함을 목적으로 한다.
건강도시 프로젝트는 1986년 초기부터 그 개념이 국내 학계에 소개되어 1996년 과천시 시범사업을 통해 국내 지자체로서는 최초로 시도되었다.
최근 국내 여러 자치단체에서 건강도시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준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을 네트워크로서 뒷받침하기 위해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가 2006년 발족되었다.

연혁
  • 1996년 과천시 시범사업
  • 2004년 4개 도시(창원시, 서울시, 원주시, 부산진구)가 WHO 서태평양 건강도시연맹 회원으로 가입
  • 2006년 9월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창립
    • 의장도시(1~2대 창원, 3~4대 원주시, 5~6대 서울특별시 강동구, 7대 서울특별시 종로구 (현재))
    • 감사도시 : 경기도 부천시, 경상북도 안동시
    • 매년 총회 개최
    • 회원 수(2019년 12월 현재) : 정회원 100개 도시, 준회원 11개 기관

총회

  • 의장
  • 감사
  • 부의장
  • 건강정책과
  • 건강증진과
  • 건강안전과

AFHC(서태평양건강도시연맹) - Alliance for Healthy Cities

사이트 바로가기

연혁
AFHC 연혁
일시상세내용
1980년대호주, 일본, 뉴질랜드 건강도시 도입 및 활성화
2003. 10.건강도시연맹 발족, 건강도시 헌장 발표
2004. 10.제1차 총회 (말레이시아 쿠칭)
2006. 10.제2차 총회 (중국 소주)
2008. 10.제3차 총회 (일본 이치가와)
2010. 10.제4차 총회 (대한민국 서울 강남구)
2012. 10.제5차 총회 (호주 로건)
2014. 10.제6차 총회 (홍콩)
2016. 8.제7차 총회 (대한민국 원주시)
2018. 10.제8차 총회 (말레이시아 쿠칭)
조직

총회, 운영위원회, 사무국, 실행위원회, 표창위원회, 총회 의장도시, 지부로 구성된다.

  • 총회(General Assembly)
    • 총괄기구 역할, 정회원 및 준회원으로 구성, 2년간 수행할 정책, 프로그램, 예산, 활동 승인
      • 2019년 12월 회원 9개국 190개 도시, 준회원 49개 기관 / 단체
  • 운영위원회(Steering committees)
    • 정책 입안기구, 4년 임기, 12명의 정회원 및 준회원으로 구성.
  • 사무국(Secretariat)
    • 일본 동경 의과치과대학교 건강도시정책연구센터
      • 사무국장 : 나카무라 게이코 교수
  • 실행위원회(Working Committee)
    • 멤버십위원회, 국제협력프로그램위원회, 파트너십개발위원회
  • 표창위원회(Committee on Awards)
    • 홍콩중문대학교 건강교육증진센터
  • 총회 의장도시(Convenor and Chair City of the General Assembly)
    • 2년 임기로 총회에서 선출, 차기 총회 개최
  • 지부(Chapters)
    • 일본, 중국, 대한민국, 중국홍콩, 호주, 말레이시아, 몽골, 필리핀, 베트남, 캄보디아
담당부서 :
전화번호 :
최종수정일 :
2022-10-07
만족도 양식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

맨위로 이동